본문 바로가기
  • 개천에서 용나는 걸 보고 싶단 말이지.

수능 수학24

04. 유형과 공식? 01. 시작하며글을 몇번 썼다 지우고 다시 쓴다...내신이 암기과목화 된 것에 대해서는 수긍을 했지만...이 마저도 수긍하기 힘들었지만... 정말 계산속도가 상당히 빠르지 않으면 제한 시간내에 풀기는....(아...? 나의 계산속도가 너무나 느리가 산수를 못 해서 그런가??)원래 수학 강사들은 나름의 자존심(?)이 있어서 절대로 남의 풀이 방법을 보지 않는다. 강사 나부랭이가 아니라 그냥 돈 빼먹으라고 설치는 놈이 아닌 바에는 말이지. 그래서 더군다가 강사들 데리고 발표수업시키는 건 코웃음 칠 따름이다. 그저 자리 잡은 강사들이 젊은 강사들의 신박한 방법을 공짜로 뺏어먹으려고 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지.  아무튼.... 트렌드가 어떤가 하고 유투브를 살펴보고 경악을 금치 못 했다....와.......무슨.. 2024. 9. 6.
03. 다항식의 나눗셈 01. 시작에 앞서사칙연산의 마지막 나눗셈이다! 다시 초등학교 시절로 돌아가서 생각을 해보자.43÷7=?뭐 보통은 습관적으로 437이라 답하거나, 초등학교 시절이라고 했으니 617을 떠올리지 않았을까? 조금 더 이전으로 돌아가자! 분수라는 개념을 배우기 전으로!6 743 42― 1이렇게 계산을 하고,43÷7=6⋯1이렇게 계산했던 시절이 있었다. 몫과 나머지라는 개념을 이용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가장 중요했던 것은 나머지는 반드시 나누는 수보다 작아야 한다. 바로 이 개념이 다항식으로 확장되는 것이다.그리고 43=7×6+1 02. 다항식의 나눗셈"초등학교 저학년의 나눗셈에서 나머지는 나누는 수 보다 작아야한다."는 다항식으로 넘어오면서 차수로 바뀐다. 2x+1 x2+2x2x3+5x2+7x+4 2x3+4x2.. 2024. 4. 4.
02. 다항식의 연산(나눗셈 빼고~) 01. 다항식의 사칙연산(나눗셈 빼고~)숫자와 다른 점만 생각하자.1+2=3이지만, x+y=x+y일 뿐이다. 특별한 조건이 없는 한 다른 문자는 그냥 다른 문자일 뿐이다.다만, 같은 문자가 같은 차수일 때에 한하여, x+x=1⋅x+1⋅x=(1+1)x=2x와 같이 계수를 합할 수 있다. 만일 다른 차수라면?x+2x+x2+x3=x3+x2+3x처럼 그냥 같은 문자지만 차수가 다르다면 다른 문자로 취급하면 된다! 그리고 계산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보통 가장 높은 차수부터 낮은 차수 순으로 식을 쓰는 게 일반적이다.그리고 나면, 나머지는 숫자와 다를 바가 없다.교환법칙 : {A+B=B+AAB=BA결합법칙 : {(a+b)+c=a+(b+c)(ab)c=a(bc)분배법칙 : {a(b+c)=ab+ca(a+b)c=ca+bc뭐.. 2024. 3. 31.
01. 다항식을 시작하면서 00. 시작에 앞서시작에 앞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중학교까지 배운 것들을 되돌이켜 보자. 그냥 초등과 중등을 합쳐서 생각하자.정수자연수를 배운 후에,덧셈과 뺄셈을 배우고,곱셈을 배운 후에 구구단을 배웠고나눗셈을 배운 후에분수를 배웠다음수라는 개념을 배웠고 역시 위의 순서에 따라 사칙연산을 반복했다.유리수분수를 배운 후에덧셈과 뺄셈을 배우고곱셈과 나눗셈을 배우고,유한소수, 무한소수를 배웠고무리수를 배웠다.무리수무리수를 배운 후에덧셈과 뺄셈을 배우고곱셈과 나눗셈을 배웠고... 켤레 무리수?허수를...(아..이건 고등학교 때인가? )허수고등학교에서 배우지만..역시나 마찬가지로허수를 배운 후에사칙연산을 배우고켤레 복소수?물론 이 밖에도 함수와 도형들이 있지만 그건 나중에 생각하자. 곰곰이 살펴보면 정수, 유리수,.. 2024. 3. 30.
11. 수능 수학을 공부하는 방법? 00. 내신은 모르겠고....수능의 경우를 위주로 생각해보자.뭐 솔직히 내신이야....교과서학교의 보충교재프린트물기출문제만 풀면 되는 거 아닌가? 그리고 위의 경우들 중에서 반복되는 계산식이 있다면 공식이라는 이름을 부여한 다음 외우고 시험에 들어가면 되잖아...? 뭐 물론 아주 좋은 점수를 받는 비결은 아니겠지만, 좋은 점수는 받을 수 있지 않나...? 01. 우선 평상시 공부를 하고 수능 문제들을 접했을 때를 생각해보자.Created with Raphaël 2.2.0공부 시작열심히 문제집을 푼다.열심히 암기한다.암기가 되었나?자신이 생겼어?X같은 문제풀어본 문제인가?푼다.yesnoyesnoyesno보통의 경우 이런 순서를 지키지 않을까? 뭐 내신에서는 먹히겠지만...(왜 그런 경험들 다 있잖아? 뭘 .. 2024. 3. 30.
10. 수능 수학을 준비하는 전략? 0. 그런게 있어?가장 바보짓이 고3때가 되어서야 수능 준비를 시작하는 거지. 1. 선행학습?솔직히 중학교때까지 선행학습하는 것은 그냥 수포자를 양산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다고 본다. 제대로 따라가는 아해들이 있을 수도 있지만....그건 어디까지나 그 선행학습을 시키는 강사라는 작자가 제대로 가르칠 경우에나 해당하는 말이고... 그냥 간단한 예로"xn을 미분하면 nxn−1이야. 외워이러고 미분을 할 줄 안다고 자랑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공포마케팅으로.... 근데 이게 오히려 수학을 싫어하게 만드는 요인이거든... 뭐 그래도 학교와 같은 진도보다는 한학기 정도 선행이 좋다는 건 부인할 수 없다....선행한 후에 학교에서 진도나갈 때에는 좀 심화된 문제를 풀면서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지.. 2022.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