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천에서 용나는 걸 보고 싶단 말이지.
모의고사 풀이/기하

2021년 04월 기하 29번

by Dyner 2022. 2. 19.
2021.04.geo.29
29. 좌표평면 위에 네 점 A(2, 0), B(1, 0), C(2, 1), D(0, 1)이 있다. 반원의 호 (x+1)2+y2=1 (0y1) 위를 움직이는 점 P와 삼각형 BCD 위를 움직이는 점 Q에 대하여 |OP+AQ|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하자. M2+m2=p+2q일 때, p×q이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고, pq는 유리수이다.)


i. 정리

당연히 벡터 문제이고, 벡터 크기의 최대최소에 관련한 문제이니 고정점을 기준으로 표현을 바꾸는 것이 편할 것이다.

원이 나왔으니 원의 중심, 그리고 원점, 그리고 삼각형의 한 점들 중에서 최대한 표현형태를 줄여나가면서 알기 쉽게 바꾸도록 하자.

  • OP=OR+RP (단, R(1,0)이라 하자.)
  • AQ=AB+BQ

이를 이용하면,

|OP+AQ|=|OR+RP+AB+BQ|=|AO+RP+BQ|

그런데, AO=RB !!!! 이를 활용하면,

|OP+AQ|=|RB+RP+BQ|=|RQ+RP|

오! R을 기준으로 바꿔치기가 되었다.

ii. 최대일 때를 찾아보자.

  • |RP|=1 이므로, |RQ|가 최대가 될 때, RP가 평행한 벡터가 되면?

즉, Q=C 일 때, |RQ|의 크기가 최대가 된다. 이때, |RQ+RP|=|RC|+1

 M=32+1+1=10+1

iii. 최소일 때를 찾아보자.

  • |RP|=1 이므로, RPRQ의 사잇각이 클수록 (π2<θ<π, 단, θ는 사잇각) 그리고 |RQ|이 작을 수록 최소가 될 것이다.

즉, P=A일 때가 기준이 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두가지의 경우가 발생한다.

  • RCBD의 교점이 Q일까?
  • RBD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점이 Q일까?

물론 시간이 없으면 당근 두 경우 다 계산해서 찾으면 된다!!!! 무책임하지?

그런데, 잠깐 생각을 해보자. 가능하면 고정된 걸로 표현해내면서 찾은 상황이니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RP+RQ|=|RA+RQ|=|RA+RB+BQ|=|RO+BQ|

여기서 RO는 고정된 값이고, 최소가 되는 Q를 찾아내면 된다.

벡터의 합을 생각해보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삼각형 BDCx 축으로 1만큼 이동시키면?)

즉,

|RP+RQ|=|RO+BQ|=|RO+BQ|=|RQ|

기울기가 BD는 기울기가 1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면, (뭐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를 이용해도 좋고.....)

m=22

iv. 계산

M2=11+210

m2=12

 M2+m2=232+210

p=232, q=10

 p×q=115

 

'모의고사 풀이 > 기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06월 기하 30번  (0) 2022.02.26
2022학년도 6월 기하 29번  (0) 2022.02.26
2021년 04월 기하 30번  (0) 2022.02.21
2021년 03월 기하 30번  (0) 2022.02.08
2021년 03월 기하 29번  (0) 20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