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여기서는 그냥 개념을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
I. 함수의 연속
일 때 에서 극한값이 존재
일 때, 에서 연속 가 항상 성립하고, 이면 이다.사잇값 정리
가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이고 일 때, 또는 를 만족하는 임의의 값 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가 열린구간 에 반드시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II. 미분이란?
미분계수의 의미 : 접선의 기울기
미분가능성
간단히 말해서
미분가능하면,
연속이다.
아..요즘은 간미연이 누군지 모르나?
미분가능
연속은 항상 성립하지만, 연속 미분가능은 항상 성립하는 건 아니다.
III. 미분의 활용
접선의 방정식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롤의 정리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일 때, 이면 인 가 에 반드시 하나 이상 존재한다.평균값 정리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이면, 를 만족하는 가 에서 반드시 하나 이상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래프를 그려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수능 수학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적분이란? (수학II) (0) | 2022.07.23 |
---|---|
05. 미분에 대해 한 걸음 더 (0) | 2022.07.23 |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3 (0) | 2022.07.22 |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2 (0) | 2022.07.22 |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1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