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천에서 용나는 걸 보고 싶단 말이지.
수능 수학/이야기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2

by Dyner 2022. 7. 22.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2
흰 돌과 검은 바둑돌로 다음 그림과 같은 칸에 채우려고 한다. 이 때, 검은 바둑돌끼리는 이웃하지 않게 칸을 채운다고 할 때, 11개의 칸을 채우는 방법은 모두 몇 가지인가? (단, 첫째 칸에 오는 바둑돌의 색은 어떤 것이어도 상관없다고 한다.)

  • 수열은 규칙이다.
  • 규칙 : 검은 바둑돌끼리 이웃하지 않게 나열한다.
  • 사건들을 나열한 후 수열의 귀납적 정의로 표현하자.

편의상 검은 바둑돌은  B, 흰 바둑돌은  W을 이용하여 적어보자. 단, 항끼리의 연관관계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규칙을 이용해서 표현하자.

a1Wb1B a2WWb2WB BW a3WWWb3WWB BWWBWB WBW a4WWWWb4WWWB BWWWBWWB WBWWWBWB WWBW BWBW

조금 보기 편하게 역시 선을 그어보자.

a1Wb1B a2WWb2WB BW a3WWWb3WWB BWWBWB WBW a4WWWWb4WWWB BWWWBWWB WBWWWBWB WWBW BWBW

자! 숨은 그림 찾기!

a1Wb1B a2WWb2WB BW a3WWWb3WWB BWWBWB WBW a4WWWWb4WWWB BWWWBWWB WBWWWBWB WWBW BWBW

위의 표를 보고 우리는 bn을 유추할 수 있다.  bn은 경우의 수임을 기억하자.

b2=a1 b3=a2 b4=a3  bn=an1 bn+1=an

이제,  an의 점화식에 대해 찾아보면,

a1Wb1B a2WWb2WB BW a3WWWb3WWB BWWBWB WBW a4WWWWb4WWWB BWWWBWWB WBWWWBWB WWBW BWBW

위의 색깔별로 포함된 관계를 이용해서 수열  an을 유추해 보면,

a2=a1+b1 a3=a2+b2 a4=a3+b3  an=an1+bn1 an+1=an+bn

이제 구한 점화식을 정리하면,

{an+1=an+bn bn+1=an

점화식을 보고 설명하기

위에서 정의한 수열의 정의를 보면,

an : n번째 바둑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

bn : n번째 바둑칸에 검은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

이를 기본으로 점화식을 설명하면,

an+1=an+bn

(n+1)번째 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는  n번째 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와 검은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의 합이다.

bn+1=an

(n+1)번째 칸에 검은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는  n번째 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와 같다. (검은 바둑돌은 이웃하게 놓지 않는다.)

이제 훈련이 되었다면, 간단하게 문제를 풀도록 하자.

수열의 귀납정 정의를 이용하기

an : n번째 바둑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

bn : n번째 바둑칸에 검은 바둑돌이 오는 경우의 수

위의 수열의 정의대로 점화식을 세워보면,

(n+1)번째  n번째   Wan+1Wan Bbn

표를 보듯이  (n+1)번 째에 흰 바둑돌이 오는 경우는  n번째에 흰 바둑돌을 놓은 경우에 흰 바둑돌을 두는 경우와 검은 바둑돌을 놓은 경우에 흰 바둑돌을 놓는 경우의 수의 합이다.

 an+1=an+bn

(n+1)번째  n번째   Bbn+1Wan

역시,  (n+1)번째 칸에 검은 바둑돌을 놓은 경우는  n번째에 흰 바둑돌을 놓은 경우에 검은 바둑돌을 놓는 경우이므로  (n+1)번째에 검은 바둑돌을 놓는 경우의 수는  n번째에 흰 바둑돌을 놓는 경우의 수와 같다.

 bn+1=an

이 점화식을 구하는 것은 문제를 풀기위한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n+1회 째에 검은 돌이 연속하지 않도록 바둑돌을 놓는 경우의 수를 cn+1이라 하면,

{an+1=an+bn  bn+1=an  cn+1=an+1+bn+1

그리고,  bn=an1을 대입하면,

an+1=an+an1

첨자를 정리하면,

an+2=an+1+an

이 관계를 이용하면,

cn+1=an+2=an+1+an

즉,  a12를 구하면 된다.

a1=1,  a2=2

a3=a2+a1=2+1=3 a4=a3+a2=3+2=5 a5=8 a6=13 a7=21 a8=34 a9=55 a10=89 a11=144 a12=233

경우의 수 문제 또는 확률 문제에 활용되는 경우가 은근히 존재한다.

예를 하나 들면,

비가 온 후 다음 날 비가 올 확률이 23이고, 맑은 다음 날 비가 올 확률이 13일 때, 월요일 비가 왔다. 일요일에 비가 왔을 때, 토요일에 비가 왔을 확률을 구하시오.

 

 

'수능 수학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함수의 극한과 미분  (0) 2022.07.22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3  (0) 2022.07.22
04. 수열의 귀납적 정의 01  (0) 2022.07.22
03. 수열  (0) 2022.07.22
02. 합성함수 그리기  (0) 2022.07.22